Development • 프로젝트
성수동 삼표 레미콘공장 부지 개발 사업 본격 시동
서울시와 민간사업자, 사전협상 마무리…2월 행정절차 돌입 축구장 3개 면적에 56층 높이 3개 동 다목적 복합건물 건설 검찰 기소·조기 대선 가능성 등 잇단 돌발변수는 걸림돌 우려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삼표 레미콘공장 부지(이하 ‘삼표 부지’) 개발을 위한 서울시와 민간사업자의 사전협상이 마무리됐다. 이에 서울시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행정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삼표 부지 개발이 본격화함에 따라 성수동 일대에 추진되고 있는 오피스 지구 조성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사업자인 ‘SP 성수 PFV’의 최대 주주인 삼표산업에 대한 검찰 기소와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 가능성 등 외생변수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사업 본격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4조 투입해 첨단산업 분야 글로벌 미래 업무지구 조성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삼표 부지 개발을 위한 사전협상을 마무리 짓고, 이르면 다음달부터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사전협의가 끝나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행정절차를 착수하기로 했다”며 “2월 중 계획안을 만들어 3월 중에는 주민공람에 들어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사전협상은 5000㎡(1512평) 이상의 대규모 부지를 개발할 때 인·허가권자인 서울시와 민간사업자가 협상을 통해 도시계획 변경을 포함한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제도이다. 삼표 부지 개발사업은 1977년부터 레미콘공장이 들어섰던 지역으로, 면적이 무려 2만 2924㎡(약 6935평)에 달한다. 축구장 3개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구단위계획은 기초조사를 거쳐 계획안이 확정되면 ‘주민공람(주민의견청취)→관계기관장 협의→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결정·고시’의 순서를 밟게 된다. 전체 일정은 평균적으로 200일 정도 걸린다.
이에 따라 2025년에 공사 인·허가 및 착공하겠다는 당초 목표는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사업자인 ‘SP 성수 PFV’가 내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전체 사업 일정을 정리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삼표 부지를 포함한 성수동 일대를 첨단산업 분야 글로벌 미래 업무지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3년에 국제 설계 공모를 통해 미국의 세계적인 설계회사 ‘솜(SOM)’이 제안한 ‘서울숲의 심장’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당선작은 최고 56층 높이의 복합건물 3개 동에 업무·상업·문화·숙박·주거시설 등을 넣기로 했다. 다기능 복합건축물이라는 뜻이다. 또 3개 동의 저층부를 하나로 연결한 선큰가든을 조성해 전체 건물을 도보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투입될 추정사업비는 4조 원.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성수동 일대를 서울시의 새로운 오피스 지구로 띄우는 과정에서 핵심은 삼표 부지 개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지구단위계획안이 나온다면 이런 움직임이 보다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검찰, 지난달에 개발사업자 최대 주주인 삼표개발 기소
다만 최근 돌발 변수가 잇따르면서 이러한 장밋빛 기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선 삼표 부지 개발 사업자인 ‘SP 성수 PFV’의 지분 95%를 갖고 있는 삼표산업에 대한 검찰 수사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지난달 27일 삼표산업과 홍성원 전 대표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삼표산업은 총수 2세인 정대현 부회장이 최대 주주로 있는 레미콘 원자재 업체 ‘에스피네이처’를 삼표그룹 모회사로 만들 목적으로 2016∼2019년 사이에 약 75억 원의 부당이익을 몰아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삼표산업이 에스피네이처에 유리한 조건으로 레미콘 원료가 되는 시멘트 대체재인 ‘분체’를 구입했다고 본다.
현재 제기되고 있는 조기 대선 가능성도 우려를 키운다. 삼표 부지 개발 사업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3년 3월 유럽 출장에서 청사진을 공개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은 프로젝트이다. 유력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오 시장이 대선에 나서게 된다면 추진 동력을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